Esports/LoL 경기&소식

굳건한 T1, ESPN 선정 롤 파워랭킹(~2/28)

손셉 2020. 3. 5. 00:55
반응형

2월 28일까지 ESPN 선정 리그오브레전드 글로벌 파워랭킹 1위에는 지난 주에 이어서 T1이 선정됐습니다. 3월 9일부터 LPL이 재개된다고 하니까 다다음주부터 LPL이 반영되겠지만 이번에는 LCK가 잠정 중단되면서 빠질 것 같은데 ㅠㅠ 얼른 코로나가 사라지길 바라면서 현재까지 LCK,와 LEC, LCS를 파워랭킹 순위로 살펴봅니다.

 

 

 

 

ESPN 선정 리그오브레전드 글로벌 파워랭킹(2월 28일까지)

2월 28일까지 ESPN 선정 리그오브레전드 글로벌 파워랭킹의 메인을 장식한 것은 플라이퀘스트 와일드터틀(WildeTurtle) 선수네요. LCS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C9인데 2위인 플라이퀘스트가 메인인건 좀 이상하지만 LCS나 메인이 중요한 것은 아니니까.

 

 

 

 

1위 T1/LCK

랭킹 1위(-) T1/LCK

지난 주와 변함없이 당당하게 1위를 차지한 T1입니다. 예상대로 2승을 거둔 T1은 모든 선수가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요. 그리고 현재의 T1인 G2나 프나틱 같은 탑급 유럽팀이나 중국팀에 맞설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하는데 붙어보기 전엔 모르는 일이지만 지금의 T1이라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믿어보고 싶습니다.

 

T1에서는 요즘 특히 칸나 선수가 주목받고 있어요. 처음에는 신인치곤 잘한다라는 평가였지만 경기를 치르면 치를 수록 라인전은 라인전, 한타면 한타 자신의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는 모습이 대단하더라고요. 저는 마치 듀크 선수와 같은 모습이라고 생각하는데 DRX 케리아 선수와의 신인상 경쟁이 기대됩니다.

 

 

 

 

2위 젠지(Gen.G)/LCK

랭킹 2위(-) 젠지(Gen.G)/LCK

젠지 역시 이번 주에 2위를 수성했습니다. 역시 무난하게 2승을 찍을 것이라 예상됐던 젠지는 대퍼하면서 살짝 삐끗하긴 했지만 매치승을 모두 따냈으니 당연한 순위죠. 세나-탐켄치 조합을 픽한 것을 언급하면서 룰러와 비디디 선수가 가장 많은 주목을 받는 선수, 픽밴상 이점을 주는 라이프 선수도 충분히 주목을 할 필요가 있다고 얘기했습니다.

 

라스칼 선수의 아칼리가 이번에는 제가 봐도 별로였어서^^; 딱히 언급이 없는 것은 그렇다쳐도 클리드 선수 언급이 없는 것이 조금 이상한 것 같아요. 클리드 선수의 폼이 올라오면서 다시 파괴력을 보여주는 중이거든요. 원래 클리드급이라면 당연히 해줘야할 플레이라고 생각해서 언급이 없는거면 ㅇㅈ.

 

  

 

 

3위 프나틱(Fnatic)/LEC

랭킹 3위(+1) 프나틱(Fnatic)/LEC

프나틱이 유럽의 맹주 G2를 누르고 파워랭킹 3위에 올랐습니다. 물론 경기에서 G2를 이긴것은 아니지만 현재 보여주고 있는 경기력을 보면 확실히 프나틱이 3위 자리에 있는 것이 좀 더 어울려보이긴 합니다. 초반에는 셀프메이드(Selfmade) 선수가 합류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인지 삐끗하기도 했지만 이 선수가 브록사의 업그레이드라는 평가를 받는 것처럼 팀 전체가 물 올랐다는 생각이 들어요.

 

저번 주부터 뷔포(Bwipo) 선수가 인상적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역시 계속 눈에 띄는 플레이를 보여주는 가운데 다른 선수들도 계속해서 포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LEC 선수 중 가장 좋아하는 레클레스 선수가 변함없이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니까 더 좋네요. 현지 G2, 오리진과 함께 1위에 올라있는 프나틱은 이 기세를 계속해서 이어갈 수 있을지?

 

 

랭킹 4위(-1) G2 Esports/LEC

프나틱이 3위에 올랐으니 G2는 한 계단 떨어진 4위입니다. 리그 초반 무적 포스를 보여주던 모습과 달리 최근에 삐끗하면서 체면을 구기긴 했지만 저번 주차에는 깔끔한 경기력으로 2승을 따내면서 평가가 더 떨어지진 않았어요. 그렇지만 2019년 이후 처음으로 G2가 유럽 최고임을 보증할 수 없다는 얘기까지 나오는 중입니다. 프나틱과 경기를 앞두고 있는 G2는 자신들의 부정적인 평가를 뒤집을 수 있을지 벌써부터 궁금해지네요.

 

 

랭킹 5위(-) C9(Cloud9)/LCS

LCS 12승 0패 아직까지 무적포스를 포이고 있지만 5위를 고수한 C9입니다. 그동안 한 번도 포탑을 내주지 않은 C9이 6주차에 겨우 미드 1차 포탑을 내준 것만으로 이야깃거리가 될 정도로 엄청나지만 북미라서 더 올라가지 못하는 순위 지못미. C9 니스키(Nisqy) 선수의 경기력이 업그레이드 되었다고 칭찬받고 있는데 새로 합류한 원딜러 즈벤(Zven) 선수가 잘하는 것도 현재의 좋은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 같습니다. 탈 TSM은 과학?

 

 

랭킹 6위(-) DRX(DragonX)/LCK

DRX도 저번과 순위변동 없이 6위를 차지했습니다. LEC와 LPL 최상위권은 몰라도 LCS 최상위권은 걍 이길 것 같다고 생각하긴 하지만 롤드컵까지 참아보죠. ㅋㅋ 보는 재미가 있는 팀 중 하나라는 얘기와 함께 쵸비 선수의 경기력이 계속해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쵸비 선수는 괴물같은 지표를 보여주면서 LCK팬들 사이에서도 화제가 되는 중이죠. 4일 치러진 담원과의 매치 역시 깔끔하게 승리로 장식한 DRX가 몇 위까지 올라갈까 궁금하지만 LCK 중단 갑분싸. ㅠㅠ

 

 

랭킹 7위(-) 오리진(Origen)/LEC

오리진도 저번 주와 마찬가지로 7위 순위유지입니다. 사실 저번 주차에는 깔끔한 승리를 차지했어도 경기 내적으로는 약점을 보여줬다는 느낌도 있었지만 아래 순위에서 오리진보다 강해보이는 팀이 없는 것도 사실이긴 하네요. 현재 경기력만으로는 확실히 프나틱과 G2에게 밀리는 것 같이 보이지만 이들을 제칠 수 있을지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랭킹 8위(+3) 아프리카 프릭스(Afreeca Freecs)/LCK

아프리카 프릭스가 3계단 떡상하면서 8위에 올랐습니다. 최근 보여주고 있는 경기력은 확실히 좋지 않은 느낌이지만 어차피 모든 리그에서 최상위권을 제외하고는 약점(더 큰 약점)을 노출하고 있는 것을 보면 이해되는 순위네요. 최근 스피릿 선수의 폼이 별로인 것도 있지만 특히 미드라이너 플라이와 올인 두 선수 모두 미드 라인전이 약하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플라이 선수가 반짝하는 선수가 아니었으면 하는데 말이죠. ㅠㅠ

 

 

랭킹 9위(+3) 플라이퀘스트(FlyQuest)/LCS

플라이퀘스트 역시 3계단 떡상하면서 9위를 차지했습니다. 북미라는 이유로 플라이퀘스트는 로그 밑인 10위가 더 어울릴 것 같긴하지만 LCS 중위권을 살짝 따돌리고 2위에 안착한 것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아요. 저는 이그나 선수가 인상적이었었는데 계속해서 2위를 유지할 수 있을지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원조 북미의 맹주 팀 리퀴드가 올라오고 있거든요.

 

랭킹 10위(-) 로그(Rogue)/LEC

로그는 지난 주 순위와 마찬가지로 10위에 안착했습니다. 오 경기력 깔끔하고 좋은데? 라고 생각하게 만들다가도 최상위권에는 밀리는 모습을 이번에도 보여줬네요. 그래도 매드 라이온스보다는 위인 것으로 보여지는데 LEC 중간 순위 팀들의 결말이 궁금합니다.

 

이번 순위는 이렇지만 LCK가 빠지고 LPL만 새롭게 파워랭킹에 합류할 것은 생각하면 참 아쉽습니다. 3대 리그(4대 리그)가 모두 반영된 롤 파워랭킹을 보기가 이렇게 힘든 것이었는지 ㅠㅠ 하루빨리 정상적인 파워랭킹을 볼 수 있길 희망해봅니다.

 

 

 

 

 

출처:

ESPN - League of Legends global power rankings through Feb. 28

반응형